📖 한눈에 보는 핵심 가이드
총 12시간 거래 시대 (08:00 ~ 20:00)
KRX(한국거래소)의 운영 시간은 기존과 동일하며, NXT(넥스트레이드)의 프리/애프터마켓이 더해져 총 주식 거래 가능 시간이 12시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제 투자자는 NXT를 통해 출퇴근 시간에도 실시간으로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두 시장의 경쟁과 자동 최선 집행 (SOR 시스템)
정규장(09:00~15:20) 동안에는 KRX와 NXT가 실시간으로 경쟁합니다. 투자자가 주문을 내면 증권사의 SOR(최선집행의무) 시스템이 두 시장을 즉시 비교하여, 투자자에게 가장 유리한 가격과 수량으로 주문을 자동으로 집행해 줍니다. 투자자는 SOR을 이용하거나 KRX, NXT를 직접 지정하여 주문할 수도 있습니다.
가격 결정 방식의 이해: 동시호가 vs 접속매매
거래 방식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장 시작(시초가)과 마감(종가) 시에는 KRX의 동시호가 방식을 통해 모든 주문을 모아 하나의 공정한 가격을 결정합니다. 그 외 대부분의 시간(NXT 프리/애프터마켓, KRX/NXT 정규장)은 실시간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접속매매 방식이 적용됩니다.
신규 주문 방식 도입: '중간가 호가'와 '스톱 지정가 호가'가 새롭게 추가되어 더욱 다양한 투자 전략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문 종류' 선택의 중요성
특수한 거래 방식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증권사 앱(MTS/HTS)에서 기본값인 [보통/지정가]가 아닌 [시간외 종가]와 같은 특정 '주문 종류'를 직접 선택해야 합니다. 각 시간대의 규칙을 이해하고 올바른 주문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 투자의 핵심입니다.
🔍 시간대별 상세 분석 및 전략
1. 한눈에 보는 거래 시간 흐름 (KRX & NXT)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두 시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운영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타임라인입니다.
gantt
title 대한민국 주식 시장 거래 시간 (KRX vs NXT)
dateFormat HH:mm
axisFormat %H:%M
section 대체거래소 (NXT)
프리마켓 (접속매매) :active, 08:00, 08:50
KRX 시가 대기 (거래 중단) : 08:50, 09:00
정규장 (접속매매) :crit, 09:00, 15:20
KRX 종가 대기 (거래 중단) : 15:20, 15:30
애프터마켓 (호가접수) :done, 15:30, 15:40
애프터마켓 (접속매매) :active, 15:40, 20:00
section 한국거래소 (KRX)
시간외 종가매매 (장전) :active, 08:30, 08:40
시가 결정 (동시호가) :done, 08:30, 09:00
정규장 (접속매매) :crit, 09:00, 15:20
종가 결정 (동시호가) :done, 15:20, 15:30
시간외 종가매매 (장후) :active, 15:40, 16:00
시간외 단일가 (주기적 동시호가) :done, 16:00, 18:00
2. KRX (한국거래소) 거래 시스템 상세 분석
KRX는 오랜 기간 운영되어 온 전통적인 시장으로, 각 시간대별 규칙과 원리를 깊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 시작 전 (Before Market Open)
시간외 종가매매 (장전) (거래 시간: 08:30 ~ 08:40)
- 주문 접수: 08:20부터 미리 주문을 낼 수 있습니다.
- 상세: '전일 종가'라는 고정된 가격으로 선착순 체결됩니다.
시가 결정 (주문 시간: 08:30 ~ 09:00) - 동시호가
- 주문 접수: 해당 시간 동안 계속 주문을 접수받습니다.
- 상세: 30분간 주문을 모아 단 하나의 시초가를 결정하여 09:00에 일괄 체결합니다. 예상 체결가 제공은 08:50부터 시작됩니다.
정규장 (Regular Session: 09:00 ~ 15:30)
- 실시간 거래 (09:00 ~ 15:20) - 접속매매: '가격 우선, 시간 우선' 원칙에 따라 실시간으로 경쟁하여 체결됩니다.
- 종가 결정 (주문 시간: 15:20 ~ 15:30) - 동시호가: 10분간 주문을 모아 단 하나의 종가를 결정하여 15:30에 일괄 체결합니다.
장 마감 후 (After Market Close)
시간외 종가매매 (장후) (거래 시간: 15:40 ~ 16:00)
- 주문 접수: 15:30(종가 결정 직후)부터 미리 주문을 낼 수 있습니다.
- 상세: '당일 종가'라는 고정된 가격으로 선착순 체결됩니다.
시간외 단일가 거래 (거래 시간: 16:00 ~ 18:00) - 주기적 동시호가
- 주문 접수: 16:00부터 계속 주문을 접수받습니다.
- 상세: 당일 종가 대비 ±10% 범위 내에서 10분마다 단일가를 결정하여 체결합니다. NXT 거래 가능 종목은 이 시간대에 KRX에서 매매가 불가능합니다.
3. NXT (넥스트레이드) 거래 시스템 상세 분석
NXT는 프리-메인-애프터 3단계 시장으로 구성되며, 투자자에게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사전 주문 접수: 07:59:50부터 프리마켓, 메인마켓, 애프터마켓에 대한 주문을 미리 낼 수 있습니다.
주문 유효 기간: NXT에 낸 미체결 주문은 프리마켓 → 메인마켓 → 애프터마켓까지 계속 유지됩니다.
프리마켓 (Pre-market: 08:00 ~ 08:50) - 접속매매
- 실시간으로 경쟁하며 가격이 결정됩니다.
- 거래 중단 (08:50 ~ 09:00:30): KRX의 '시초가' 결정을 위해 NXT 거래는 일시적으로 멈춥니다. 이 시간 동안 주문 취소는 가능합니다.
메인마켓 (Main Market: 09:00:30 ~ 15:20) - 접속매매
- KRX보다 30초 늦게 시작하여 시가 형성의 안정성을 꾀합니다.
- KRX와 실시간으로 경쟁하며, SOR이 최적의 시장을 선택합니다.
애프터마켓 (After-market: 15:30 ~ 20:00)
- 거래 중단 (15:20 ~ 15:30): KRX의 '종가' 결정을 위해 NXT 거래는 일시적으로 멈춥니다. 이 시간 동안 주문 취소는 가능합니다.
- 단일가 매매 (15:30 ~ 15:40): 10분간 호가를 접수받아 15:40에 단일가로 한 번 체결됩니다.
- 접속매매 (15:40 ~ 20:00): 단일가 체결 이후부터는 다시 실시간 거래가 시작됩니다.
NXT 종가매매 (주문: 15:00~, 체결: 15:30~16:00)
- NXT 시장을 통해 'KRX의 당일 종가'로 거래하는 별도의 주문 방식입니다.
4. 시간대별 투자 전략
시간대 | 운영 시장 | 핵심 특징 |
---|---|---|
08:00 ~ 08:30 | NXT 단독 운영 | 글로벌 변수 최초 반영 |
08:30 ~ 08:40 | NXT + KRX 동시 운영 | 고정가 vs 변동가 선택 |
08:40 ~ 08:50 | NXT + KRX 동시 운영 | 실시간 가격 vs 예상가 비교 |
08:50 ~ 09:00:30 | KRX 단독 운영 | 시초가 결정 관망 |
09:00:30 ~ 15:20 | KRX & NXT 동시 경쟁 | 핵심 거래 시간 (SOR 작동) |
15:20 ~ 15:30 | KRX 단독 운영 | 종가 결정 시간 |
15:30 ~ 16:00 | NXT + KRX 동시 운영 | 정리 및 재개 |
16:00 ~ 18:00 | NXT + KRX 동시 운영 | 장 마감 후 뉴스 반영 |
18:00 ~ 20:00 | NXT 단독 운영 | 야간 거래 시간 |
시간대별 상세 전략
08:00 ~ 08:30 (글로벌 변수 최초 반영)
- 특징: NXT 프리마켓이 단독으로 운영되며, 미국 증시 결과나 새벽 뉴스가 국내 시장에 가장 먼저 반영됩니다. 거래량이 적어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 추천 전략: 성급한 추격 매매보다는 시장 분위기와 특정 종목군의 반응을 관찰하며 그날의 투자 전략을 가다듬는 시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08:30 ~ 08:40 (고정가 vs 변동가 선택)
특징: KRX의 '시간외 종가매매(장전)'가 시작되며 투자자에게 첫 번째 선택지가 주어집니다.
어떤 시장을 선택할까?
Case 1: 확실한 가격으로 거래하고 싶을 때
- 추천 시장: KRX (시간외 종가매매)
- 이유: '전일 종가'라는 고정된 가격으로 거래되므로 가격의 불확실성이 없습니다. 간밤의 호재/악재에 대해 명확한 가격으로 대응하고 싶을 때 유리합니다.
Case 2: 실시간 가격 변화에 대응하고 싶을 때
- 추천 시장: NXT (프리마켓)
- 이유: 실시간 접속매매 방식이므로, 시장의 반응을 직접 보면서 유연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뉴스의 영향이 불확실할 때 적합합니다.
08:40 ~ 08:50 (실시간 가격 vs 예상가 비교)
- 특징: KRX에서 '시가 동시호가'가 시작되며, 08:50부터는 '예상 체결가'가 표출됩니다.
- 추천 전략: NXT의 실시간 가격과 KRX의 예상 체결가를 비교하며 9시 정규장 시작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두 가격 간의 괴리가 크다면 정규장 시작과 동시에 큰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암시하므로, 미리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08:50 ~ 09:00:30 (시초가 결정 관망)
- 특징: NXT 거래는 중단되고, 모든 투자자의 시선이 KRX의 최종 '시초가'가 얼마에 결정될지에 집중됩니다.
- 추천 전략: 적극적인 매매보다는, 동시호가 막판에 들어오는 기관이나 외국인의 수급을 확인하며 시장의 힘의 균형을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관망의 시간입니다.
09:00:30 ~ 15:20 (핵심 거래 시간)
- 특징: 하루 중 거래가 가장 활발한 핵심 시간대입니다. KRX와 NXT가 동시에 경쟁하며, SOR 시스템이 최적의 주문을 자동으로 집행합니다.
- 추천 전략: 투자자는 시장 선택에 대한 고민 없이, 오직 가격, 수량, 타이밍 등 자신의 매매 전략을 실행하는 데만 집중하면 됩니다.
15:20 ~ 15:30 (종가 결정 시간)
- 특징: NXT 거래는 중단되고, 그날의 최종 기준 가격인 '종가'가 결정됩니다.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 집행이 몰립니다.
- 추천 전략: 이 시간의 수급 변화를 통해 다음 날 시장을 예측하기도 합니다.
15:30 ~ 16:00 (정리 및 재개)
특징: KRX 종가가 확정되자마자 NXT에서는 애프터마켓 호가 접수가 시작(체결은 15:40부터)되고, KRX에서는 '시간외 종가매매(장후)'가 시작됩니다.
어떤 시장을 선택할까?
Case 1: 확정된 종가로 물량을 정리하고 싶을 때
- 추천 시장: KRX (시간외 종가매매) 또는 NXT (종가매매)
- 이유: '당일 종가'라는 고정된 가격으로 미처 체결하지 못한 물량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Case 2: 종가 확인 후 즉시 대응하고 싶을 때
- 추천 시장: NXT (애프터마켓)
- 이유: 종가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보며 실시간으로 추가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15:40부터 체결)
16:00 ~ 18:00 (장 마감 후 뉴스 반영)
특징: 장 마감 후 발표된 공시나 뉴스에 따라 두 시장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어떤 시장을 선택할까?
Case 1: 즉각적인 반응과 빠른 거래를 원할 때
- 추천 시장: NXT (애프터마켓)
- 이유: 실시간 접속매매 방식이므로 뉴스에 가장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Case 2: 보다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원할 때
- 추천 시장: KRX (시간외 단일가)
- 이유: 10분간 주문을 모아 하나의 가격을 결정하므로, NXT보다 순간적인 변동성이 적을 수 있습니다.
18:00 ~ 20:00 (야간 거래 시간)
- 특징: KRX의 모든 거래가 종료되고 NXT 애프터마켓이 단독으로 운영됩니다.
- 추천 전략: 유럽 증시 동향이나 미국 증시 프리마켓 움직임 등을 보며 저녁 시간에도 여유롭게 실시간 거래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 부록: HTS 주문 종류 완벽 가이드
1. SOR (Smart Order Routing) 시스템이란?
SOR은 증권사의 '최선집행기준'에 따라 투자자의 주문을 가장 유리한 조건의 거래소(KRX 또는 NXT)로 자동 전송하는 스마트 주문 시스템입니다. SOR은 체결에 유리한 경우 주문을 여러 거래소로 나누어 처리(분할주문)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는 SOR을 이용하거나, KRX 또는 NXT를 직접 지정하여 주문할 수 있습니다.
2. 신규 호가(주문) 종류
대체거래소 출범과 함께 새로운 주문 방식이 추가되었습니다.
중간가 호가
- 설명: 최우선 매수/매도 호가의 산술평균 가격으로 주문을 내는 방식입니다. 호가가 변하면 중간가도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이를 통해 매수자는 최우선 매도호가보다 싸게, 매도자는 최우선 매수호가보다 비싸게 거래할 기회를 얻습니다.
- 유의점: SOR 주문 시에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NXT에서는 15:20에 미체결된 중간가 주문은 일괄 취소됩니다.
스톱 지정가 호가
- 설명: 현재가가 미리 설정한 '스톱 가격'에 도달하면, 지정된 가격으로 주문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방식입니다.
- 유의점: KRX와 NXT 간에 스톱 가격 설정 제한 및 정정 가능 여부에 차이가 있습니다. SOR 주문 시에는 이용할 수 없으며, NXT의 미체결 스톱 지정가 주문은 15:20에 일괄 취소됩니다.
3. '주문 종류' 선택을 통한 정밀 제어
증권사 앱 주문창의 [보통/지정가]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문 종류 | 핵심 기능 | 잔량 처리 | 추천 상황 요약 |
---|---|---|---|
지정가 (보통) | 지정한 가격 또는 그보다 유리하게만 체결 | 호가창에 대기 | 가격 통제가 최우선일 때, 급하지 않을 때 |
시장가 | 가격 불문, 가장 빠른 체결 (매수/매도) | 즉시 체결 후 소멸 | 속도가 최우선일 때 (급등락 시) |
조건부지정가 | 장중 지정가 → 미체결 시 종가 시장가 전환 | 종가 시장가로 전환 | 장중 가격 시도 + 당일 체결 보장 원할 때 |
최유리 지정가 | 즉시 체결 가능한 가장 좋은 가격으로 주문 | 해당 가격에 대기 | 빠른 체결과 가격 안정성의 절충안 |
최우선 지정가 | 체결 대기열의 가장 앞 순서를 잡는 주문 | 해당 가격에 대기 | 체결 우선순위 확보, 적극적 매매 |
IOC 조건 | 즉시 체결 후 잔량은 자동 취소 | 즉시 취소 | 부분 체결도 괜찮고, 잔량 대기를 원치 않을 때 |
FOK 조건 | 전량 체결 아니면 전부 자동 취소 | 즉시 취소 | 대량 주문 시, 부분 체결을 반드시 피해야 할 때 |
시간외 종가 | 고정된 가격(전일/당일 종가)으로 거래 | 시간 종료 시 소멸 | 특정 기준가로만 거래하고 싶을 때 |
A. 가격 결정 방식
지정가 (보통)
- 설명: 내가 지정한 가격 또는 그보다 유리한 가격에만 거래를 체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주문입니다.
- 추천 상황: 특정 가격에 도달해야만 매수/매도하려는 명확한 계획이 있을 때. 시장의 급격한 변동에 휘말리지 않고 원하는 가격에 안정적으로 거래하고 싶을 때 가장 적합합니다.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감수해야 합니다.
시장가
- 설명: 가격을 불문하고 지금 즉시 거래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가장 공격적인 주문입니다. 이 주문은 호가창에 있는 상대방의 주문을 가격 순서대로 '전부 소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작동 예시(매수): 10,000주 시장가 매수 주문을 냈을 때, 호가창에 매도 물량이 총 5,000주밖에 없다면, 그 5,000주를 가격이 오르더라도 전부 사들인 후 남은 5,000주 주문은 즉시 자동으로 소멸(취소)됩니다. 주문이 호가창에 대기하지 않습니다.
- 추천 상황: 중요한 뉴스가 발표되어 지금 당장 포지션에 진입(매수)하거나 청산(매도)해야 할 때. 가격보다 체결 속도가 훨씬 중요할 때 사용합니다. 단, 호가창이 얇은(거래량이 적은) 종목에 사용하면 예상보다 훨씬 불리한 가격(Slippage)에 체결될 위험이 크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조건부지정가
- 설명: 정규장 중에는 지정가 주문으로 참여하다가, 체결되지 않으면 장 마감 시 동시호가에 시장가 주문으로 자동 전환됩니다.
- 추천 상황: 장중에는 조금이라도 유리한 가격을 시도해보고 싶지만, 당일 안에는 반드시 포지션을 정리하거나 확보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 '최유리'와 '최우선'의 개념 이해하기
이 두 용어를 이해하려면 호가창을 머릿속에 그려야 합니다. 호가창은 '사려는 사람들(매수 대기)'과 '팔려는 사람들(매도 대기)'이 줄을 서 있는 곳입니다.
최우선 매수호가: '사려는 사람들' 중 가장 비싼 가격을 부른 주문. (매수 대기열 1순위)
최우선 매도호가: '팔려는 사람들' 중 가장 싼 가격을 부른 주문. (매도 대기열 1순위)
최유리(最有利): '가장 유리하다'는 뜻으로, 상대방 진영에서 나에게 가장 좋은 가격을 의미합니다.
- 내가 살 때(매수): 상대방(매도 진영)이 제시한 가격 중 가장 싼 가격이 나에게 '최유리'합니다. → 최우선 매도호가
- 내가 팔 때(매도): 상대방(매수 진영)이 제시한 가격 중 가장 비싼 가격이 나에게 '최유리'합니다. → 최우선 매수호가
최우선(最優先): '가장 먼저'라는 뜻으로, 나와 같은 편 진영에서 맨 앞줄에 서는 것을 의미합니다.
- 내가 살 때(매수): 나도 매수 진영의 맨 앞줄(최우선 매수호가)에 서겠다는 뜻입니다.
- 내가 팔 때(매도): 나도 매도 진영의 맨 앞줄(최우선 매도호가)에 서겠다는 뜻입니다.
최유리 지정가
- 설명: 현재 호가창에서 즉시 체결 가능한 가장 좋은 가격으로 주문을 내는 방식입니다.
- 매수할 때: 지금 팔려고 나온 매물 중 가장 싼 가격(최우선 매도호가)으로 매수 주문이 나갑니다.
- 매도할 때: 지금 사려고 대기 중인 주문 중 가장 비싼 가격(최우선 매수호가)으로 매도 주문이 나갑니다.
- 추천 상황: 시장가처럼 빠르게 체결하고 싶지만, 가격이 너무 불리하게 체결되는 슬리피지(Slippage)는 피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시장가와 지정가의 절충안으로, 현재 보이는 가장 좋은 가격으로 즉시 거래를 시도하는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최우선 지정가
- 설명: 현재 호가창에서 나와 같은 입장의 경쟁자들 중 가장 앞 순서를 차지하기 위한 가격으로 주문을 내는 방식입니다.
- 매수할 때: 지금 사려고 대기 중인 주문 중 가장 비싼 가격(최우선 매수호가)과 같은 가격으로 주문을 내어, 매수 대기열의 맨 앞으로 갑니다.
- 매도할 때: 지금 팔려고 나온 매물 중 가장 싼 가격(최우선 매도호가)과 같은 가격으로 주문을 내어, 매도 대기열의 맨 앞으로 갑니다.
- 추천 상황: 당장 체결되지는 않더라도, 호가창의 가장 맨 앞에 내 주문을 위치시켜 체결 우선순위를 확보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며 적극적으로 매매에 참여하려는 의도를 가집니다.
B. 체결 조건
- IOC (Immediate Or Cancel): 주문 즉시 체결 가능한 수량만 체결하고, 나머지 미체결 수량은 즉시 자동 취소하는 조건입니다.
- FOK (Fill Or Kill): 주문한 수량 전체가 즉시 체결되지 않으면, 주문 전체를 자동 취소하는 조건입니다. 대량 주문 시 일부만 체결되는 상황을 피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C. 특정 시간 거래
- 시간외 종가(장전): '전일 종가'로만 거래하고 싶을 때 선택합니다. (08:30~08:40)
- 시간외 종가(장후): '당일 종가'로만 거래하고 싶을 때 선택합니다. (15:40~16:00)
4. 자주 묻는 질문 (FAQ)
Q: KRX에 낸 주문과 NXT에 낸 주문의 유효 기간이 다른가요?
A: 네, 매우 중요한 차이점이며, NXT 주문이 훨씬 오래 유지됩니다.
- KRX (세션별 운영): KRX에 낸 주문은 해당 거래 세션이 끝나면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예를 들어, 정규장(09:00~15:30)에 낸 미체결 주문은 15:30에 장이 마감되면 사라집니다. 다음 날 다시 주문해야 합니다.
- NXT (하루 종일 유효): NXT에 낸 주문은 아침 프리마켓부터 저녁 애프터마켓까지, 하루 종일(08:00~20:00) 유효합니다. 프리마켓에서 체결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으로 메인마켓으로 넘어가고, 거기서도 체결되지 않으면 애프터마켓까지 계속 살아남아 체결을 시도합니다.
Q: KRX의 장전과 장후 패턴은 왜 다른가요? (장전은 동시 운영, 장후는 순차 운영)
A: 거래의 기준이 되는 '가격'이 확정되었는지 여부 때문입니다.
- 장전: 기준가인 '어제 종가'는 이미 확정된 값이므로, 고정가 거래(시간외 종가매매)와 신규가 결정(시가 동시호가)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장후: 기준가인 '오늘 종가'는 15:30에 결정되므로, ①먼저 종가를 결정하고(동시호가), ②그 후에 결정된 가격으로 거래(시간외 종가매매)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밖에 없습니다.
Q: 시간대별로 볼 수 있는 정보(호가창, 체결내역)가 다른가요?
A: 네, 다릅니다. 가격 결정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 '접속매매' 시간 (NXT 프리/애프터, 정규장): 실시간 호가창(매물대)과 체결 내역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 '동시호가' 시간 (KRX 시가/종가): 실시간 체결 내역은 없으며, 계속 변하는 '예상 체결가'만 볼 수 있습니다.
- '단일가' 시간 (KRX 시간외 종가매매): 고정된 가격이므로 호가창은 없으며, 거래가 성사될 때의 단발적인 체결 내역만 볼 수 있습니다.
Q: VI(변동성 완화장치)가 발동되면 어떻게 되나요?
- A: KRX와 NXT의 대응 방식이 다릅니다. VI가 발동되면 KRX는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되지만, NXT는 2분간 거래가 정지됩니다. 통합 시세는 거래가 가능한 시장의 시세를 우선적으로 보여줍니다.
Q: '거래 중단' 시간에는 주문을 아예 못 내나요?
- A: 아닙니다. NXT 시장으로만 주문을 못 낼 뿐입니다. 해당 시간(08:50~09:00:30, 15:20~15:30)은 KRX가 중요한 기준가(시가/종가)를 결정하는 시간이므로, 시장 안정을 위해 NXT의 거래만 일시적으로 멈춥니다. 투자자는 그 시간에도 KRX의 동시호가로는 계속 주문을 낼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