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에 추가로 찾게 되는 내용들은 꾸준히 추가삭제를 하겠습니다.
시니어를 위한 교통 및 여행 혜택
교통비 절감 및 여행 편의를 증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1. 지하철 무료 이용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혜택: 지하철 무료 이용
방법:
- 신분증을 지참하고 '우대권' 발급
- 주거래 은행 방문하여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로 '우대용 교통카드' 발급
- 주민센터 방문하여 선불 충전 카드 수령
2. 기차요금 할인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혜택:
- KTX, SRT,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열차 요금 30% 할인
- 통근열차는 50% 할인
적용: 평일 한정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제외)
3. 비행기, 여객선 할인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혜택:
- 비행기 요금 10% 할인 (대한항공, 국내선 및 국제선, 성수기 제외)
- 여객선 요금 20% 할인
조건: 예약 및 탑승 시 신분증 필요, 사전 예약 시 할인 적용 조건 필요
4. 철도 공공할인 서비스(경로)
-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 혜택: 철도운임 감면(열차별 상이)
- 접수처 및 문의처: 역창구, 한국철도공사(042-615-5737)
5. 낙동강 생태탐방선 운항 요금 감면
- 대상: 유아, 경로, 군인, 장애인 등
- 혜택: 생태탐방선 운항 요금 감면
- 이용 방법: 낙동강생태탐방선 이용 시
- 문의처: 낙동강생태탐방선 (051-294-2135)
6. 시티투어버스 이용요금 감면
- 대상: 국가유공자 등
- 혜택: 시티투어버스 이용요금 감면
- 이용 방법: 부산 시티투어버스 매표소 이용 시
- 문의처: 부산 시티투어버스 매표소 (051-714-2956)
7. 도시철도 요금 면제
- 대상: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 혜택: 도시철도 이용요금 면제
- 이용 방법: 해당 지역의 도시철도 이용 시
- 문의처: 부산교통공사 (051-640-7260)
8. 교통약자 이동지원 (특별교통수단 지원)
- 대상: 장애인, 어르신 등 교통약자
- 혜택: 특별교통수단 지원
- 이용 방법: 여주시 공통약자이동지원센터 이용 시
- 문의처: 여주시 공통약자이동지원센터 (1522-2796)
이러한 혜택들을 이용하면 어르신들이 교통비용을 절약하고 여행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각 혜택의 적용 조건 및 세부 사항은 해당 기관에 문의하시거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시니어를 위한 문화생활 및 여가 서비스
1. 문화재청 소관 국가지정문화재 관람료 감면
- 대상: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등
- 혜택: 문화재청이 직접 관리하는 국가지정문화재 관람료 감면
- 이용 방법 및 문의처: 문화재청 (042-481-4814)
2. 국가유공자 등의 국립수목원 관람료 할인
- 대상: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 혜택: 국립수목원 무료입장
- 이용 방법 및 문의처: 국립수목원 (031-540-2000)
3. 답십리시네마
- 대상: 일반 대중
- 혜택: 국내외 고전영화, 독립영화, 애니메이션 등 무료 영화 감상 서비스
- 이용 방법 및 문의처: 답십리영화미디어센터 (02-2247-4007)
4. 영화 관람 혜택
-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 혜택: 영화 8,000원에 관람 (일반적으로 약 5,000원 할인)
- 이용 방법: 영화관 방문 시 신분증 제시
5. 국•공립 박물관, 미술관, 공원 혜택
-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 혜택: 국립 및 공립 박물관, 미술관, 공원 무료 관람
- 이용 방법: 해당 장소 방문 시 신분증 제시
부산시에 위치한 주요 국립 및 공립 박물관과 미술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립해양박물관,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복천박물관, 부산박물관, 부산시립미술관, 부산근대역사관
6. 국•공립 국악원 및 공연장 혜택
- 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
- 혜택: 국가 또는 지자체가 운영하는 국악원과 공연장에서 티켓 가격의 50% 할인
- 이용 방법: 공연 예매 시 신분증 제시 및 할인 요청
부산에 위치한 국공립 국악원 및 공연장은 국립부산국악원, 부산문화회관, 부산시민회관, 국립해양박물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생활 및 여가 서비스는 어르신들이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문화활동을 즐길 수 있게 하며, 여가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사전에 나이를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을 제시해야 하며, 사전 예약이나 방문 전 해당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니어를 위한 보험 및 자동차 할인
1. 무료 법률상담 서비스(국민)
- 지원내용: 모든 국민 대상 법률상담 무료서비스
- 문의처: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2. 부산광역시 시민안전보험
- 지원내용: 부산광역시 주민 보험 8개 항목 사고 발생 시 혜택 수혜 가능
- 접수처: 시민안전보험 접수센터
- 문의처: 1522-3556
3. 자동차 보험료 할인
- 대상: 65세 이상 운전자
- 지원내용: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이수 시 자동차보험료 할인 (3.6% ~ 5%)
- 접수처: 도로교통공단
- 문의처: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시니어의 의료 및 건강 서비스
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서비스 제공
- 대상: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
- 지원내용: 예방적인 교육 및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 접수처 및 문의처: 해당 지역 보건소
2. 어르신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 대상: 65세 이상 어르신
- 지원내용: 폐렴구균 23가 다당백신(PPsV23) 1회 접종 지원
- 접수처 및 문의처: 가까운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3.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 대상: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등
- 지원내용: 인플루엔자 4가백신 1회 예방접종 지원
- 접수처 및 문의처: 지정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4. 무료 예방 접종
- 대상: 65세 이상 어르신
- 지원내용: 독감 예방 접종 및 대상포진 예방 접종 무료 제공
- 접수 및 문의: 지역 주민센터나 보건소
5. 치과 치료 본인부담금 할인
대상: 65세 이상 어르신
지원내용:
-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30% (최대 2개)
- 틀니 본인부담금 30% 할인
- 만성질환자 추가 감면: 본인부담금 20% 추가 감면, 희귀난치성 질환자는 10% 추가 감면
접수 및 문의: 주소지 관할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보건복지상담센터(129),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
이 정보는 65세 이상 시니어들이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데 유용할 것입니다. 각 서비스의 접수처나 문의처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거나, 필요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6.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
이 제도는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이나 특정 노인성 질병을 가진 분들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
- 65세 미만이지만 노인성 질병(치매, 중풍, 뇌혈관 질환, 파킨슨병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경우
지원 종류
재가급여
- 요양보호사가 집으로 방문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 목욕, 간호, 낮 동안 보호, 짧은 기간 동안의 보호, 복지용구 지원 등 포함
- 이용자 부담: 서비스 비용의 15%
시설급여
- 요양원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 필요한 서비스를 시설 내에서 받음
- 이용자 부담: 비용의 20%
특별현금급여
- 특정 조건(예: 섬이나 산간벽지 거주, 자연재해 발생 등)에서 제공
- 매달 15만 원 지원
신청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직접 방문, 우편, 팩스, 인터넷을 통해 신청 가능
- 65세 미만 노인성질병 환자는 인터넷 신청 불가
- 필요 서류: 장기요양인정 신청서, 의사소견서 또는 진단서
- 신청 가능 시기: 65세 생일 30일 전부터, 서비스 시작은 65세 생일부터
문의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전화 1577-1000
- 노인장기요양보험 공식 홈페이지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는 어르신들이 자신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여러 형태의 급여를 통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합니다. 신청 방법과 조건, 필요한 서류 등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시니어를 위한 주택 및 금융 지원
1.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 대상: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호당
- 지원내용: 최대 2.5억 원 한도, 연 2.15% ~ 3.00% 금리
- 접수처: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 문의처: 국토교통부 (81599-0001)
2. 장기전세 주택공급
- 대상: 무주택세대구성원 등
- 지원내용: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보증금의 장기전세주택 공급
- 접수처: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콜센터
- 문의처: 1600-1004, SH센터: 1600-3456
COMMENTS